본문 바로가기
건강을 생각하는 시간/건강관리

코로나백신 부작용 복통, 설사, 오심, 구토, 혈변 증상이 나타난다면 상장간동맥박리와 혈전이 발생했을수도 있습니다.

by 백에어 2021. 12. 29.
반응형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고 나서 갑자기 없던 복통이 생기셨나요? 배가 전체적으로 아프거나 명치가 쿡쿡 쑤시거나, 복주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상장간막동맥박리상장간막 동맥 혈전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그럼 상장 간동맥 박리와 상장 간동맥 혈전은 무엇인지,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 백신 부작용과 관련된 증상들로 두통, 복통, 고열과 오한 등의 증상이 많이 발생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복통과 관련되어 의심해 볼 수 있는 질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 superior mesenteric artery dissection / superior mesenteric artery thrombosis) 

상장 간동맥의 박리와 혈전이 무엇인가요?

 

상장 간동맥이랑 간단하게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복부대동맥 혈관을 통해 장으로 혈액을 보내고 이때 배 안의 장기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주요 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십이지장과 췌장으로 혈액을 보내는 가지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십이지장과 췌장, 대장의 1/2 정도로 혈액을 공급하는 상장 간동맥에 혈전이나 박리가 생긴다면 주요 장기로의 혈액이 줄어들게 되고, 결과적으로 장의 궤사가 진행되는 경우 50% 이상의 사망률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상장 간동맥의 박리와 혈전이 발생하는 이유?

 

복부 대동맥에서 상장간 동맥을 통해 복부 장기로 가는 혈관에 죽상경화증(혈액의 찌꺼기) 등의 쌓여 있었거나 나이나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상장 간동맥에 입구가 좁아져 있는 경우 발생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수도관으로 설명드리자면 배의 장기로 가는 수도관이 어떠한 이유에 있어 입구가 좁아져 있거나 수도 내관이 찢어져있는 경우를 이야기합니다. 이런 상태에서 간간히 기능을 하고 있던 수도관이 어떠한 이유로 인해 자극이 되거나 혈액의 찌꺼기가 쌓여 막히게 된다면 배의 장기로 가는 수도관이 꽉 막히게 되어 심각한 결과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상장 간동맥 박리와 혈전의 증상

 

  • 대표적인 증상은 복통입니다. 이 질병의 증상은 비특이 적으로 어떠한 한 부분은 눌렀을 때 복통이 심하게 느껴진다거나 하는 촉진과 관련된 감별이 힘들다고 합니다. 복부 통증이 배의 전체적으로 나타날 수 도 있고, 명치 부분에서만 국한적으로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복부 통증의 어느 부분이 어떤 통증으로 나타는 양상으로는 감별이 어렵고 환자마다 다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복부 대동맥에서 복부의 장기로 가는 상장 간동맥이 위치상 있는 곳은 대게 명치의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또한 설사를 동반하거나 어떤 사람에게는 혈변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장기로 가는 혈액의 공급이 줄어들게 되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설사와 혈변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오심과 구토가 발생하고, 식욕부진 증상이 생기고 식사 후 복부 통증이 더 심해지거나, 체중이 빠지게 됩니다.

 

 

상장 간동맥박리와 상장간동맥 혈전에 대한 진단

 

대부분 CT 검사를 통해서 감별하게 됩니다.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최소 4시간의 공복 상태가 필요하며 조영제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CT검사를 진행하고 나면 바로 결과상에 나타나게 되고 이를 통해 추후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상장 간동맥박리와 상장간동맥 혈전에 대한 치료 

 

상장간동맥박리와 상장간동맥 혈전에 대한 치료방법은 다릅니다. 상장간동맥 박리는 혈관조영술을 통해 대퇴동맥에 작은 카테터를 넣고 상장 간동맥의 내벽에 스텐트를 넣어주는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하거나 약물치료를 진행합니다. 심한 경우 복막염이 발생하게 된다면 개복술을 통해 수술적 치료를 동반해야 합니다. 

상장간동맥의 혈전은 심하지 않은 경우 약물 치료를 통해 혈전을 녹이는 치료를 진행하거나, 혈전을 제거하는 혈전 제거술 등의 치료를 하게 됩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식욕이 없고, 복부의 통증이 지속되며 오심과 구토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면 상장 간동맥 박리와 상장 간동맥 혈전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본인도 모르고 있었지만 복부 장기로 가는 나의 수도관이 좁아져 있었거나 죽상경화증 등이 생기고 있는 상태였고,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수도관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코로나 백신 때문에 발생했다고 연관성이 없을 수 있으나, 원래 있던 질환이 발현되는 기점이 될 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나의 몸에 백신을 접종한다는 것은 완벽하게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에요.

 

특히 나이가 있으시거나 기저질환이 있으신 분 중에 복부 통증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 병원 방문을 통해 검사를 진행하시길 추천드리며, 나이가 젊으신 분 중에서도 최근에 이러한 질환이 많이 동반되고 있기 때문에 20대 30대 분들도 항상 건강을 챙기시면서 나의 몸을 잘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코로나 백신 부작용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질병이라고 생각하여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본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이 아래의 증상과 유사하다면 병원 방문을 하시길 바라며, 코로나 백신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저의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니 참고해 주세요.

 

 

 

하단에 코로나 백신 접종 후 혈변증상과 간수치 상승에 대한 포스팅도 참고해주세요.

https://thinknurse.tistory.com/entry/코로나백신-화이자-부작용-혈변-피똥-만성대장염증발생 [생각하는 간호사의 스토리]"

 

http:// https://thinknurse.tistory.com/entry/코로나-백신부작용-간수치-상승-간경화발생 [생각하는 간호사의 스토리]

반응형

댓글